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워뇨띠 매매원칙으로 전개한 이더리움 매매일지

by 재택구 2025. 4. 10.

워뇨띠 매매원칙으로 전개한 이더리움 매매일지

리스크는 있었지만, 전략은 흔들리지 않았다. ETH로 경험한 워뇨띠의 세계

 

사진: Unsplash 의 André François McKenzie

📌 목차

  1. 이더리움 매매 시작 전 내 상황
  2. 워뇨띠 매매원칙이란?
  3. 매수 타이밍 포착 과정
  4. 매도 포지션 진입과 전략 유지
  5. 중간 변동성 대응기
  6. 최종 청산과 수익률 공개
  7. 느낀 점과 다음 계획

 이더리움 매매 시작 전 내 상황

4월 초, 시장은 혼조세였고 뉴스는 온통 BTC ETF와 미국 CPI 이야기뿐.
딱히 확신은 없었지만, 그래도 차트만 보고도 감이 오는 날이 있잖아요?
그날이었습니다. 차트에 딱! 이더리움이 워뇨띠 기준선에 들어왔어요.
✅ 보유 현금 600만 원
✅ 목표 수익률 15%, 손절 기준 5%

내 기준은 명확했죠.
“타이밍은 내가 잡고, 손절은 시장에 맡긴다.”

 워뇨띠 매매원칙이란?

간단히 요약하면, 워뇨띠 매매는 아래 3가지에 기반합니다.

  1. 지지선 이탈 후 되돌림 매수 또는 저항선 돌파 후 눌림 매수
  2. 손절 기준은 명확히, 진입 시점에 미리 세팅
  3. 욕심부리지 말고, 설정한 목표 도달 시 청산

특히 **‘라인 존중, 감정 배제’**라는 마인드가 핵심이에요.
저도 이 원칙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. 이번 ETH 매매는 감정 절제의 실험이었죠.

 매수 타이밍 포착 과정

4월 3일 오전 9시, ETH/USD 3,282달러
일봉상 볼린저밴드 중단선을 깨고 내려온 뒤 되돌림 구간 진입
3,280~3,300 구간에 매수 레이어 설정
→ RSI 45 수준, 과매도 아님 → 추가 매수 고려 여지 있음

💬 첫 매수: 3,282달러 / 1 ETH
💬 추가 매수: 3,267달러 / 0.5 ETH
👉 평균 매입 단가: 3,276달러

매수 후 12시간 동안 횡보 구간. 포지션엔 불안이 많았지만, 차트는 아직 내 쪽.

 매도 포지션 진입과 전략 유지

4월 4일 저녁, ETH 급등!
3,300 → 3,370 달러까지 시세가 솟구침

하지만 전 욕심 부리지 않았어요.
📌 목표가: 3,370 (상단 저항 + 직전 고점)
도달하자마자 절반 청산 → 1차 수익 확보 (3,276 → 3,370 / +2.87%)

그리고 나머지 물량은 트레일링 스탑 설정 (하락 시 자동 익절)
그 날 밤 급등 후 급락! 3,310에서 트레일링 걸려 자동 청산

💸 전체 평균 수익률: 약 3.9%
🪙 수익금: 약 23만 원 (거래소 수수료 차감 후)

 중간 변동성 대응기

진입 이후 계속되는 뉴스와 변동성에 흔들릴 수도 있었지만,
워뇨띠 매매의 기본인 “감정 배제, 라인 중심” 원칙만 지켰습니다.
장중 ETH 도지형 캔들 발생했을 땐 흔들렸지만,
라인 깨지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로 손 안 떼고 버틴 게 신의 한 수였죠.

 최종 청산과 수익률 공개

총 매수: 1.5 ETH
총 청산가: 1 ETH @3,370 / 0.5 ETH @3,310
수익률: 평균 약 3.9%
실현 수익: 23만 원 (현금 기준 600만 원 대비 3.8% 수익)

짧은 트레이딩이었지만, 기준을 지켰다는 게 무엇보다 큰 의미였습니다.

 느낀 점과 다음 계획

📌 워뇨띠 매매법은 감정에 흔들리는 사람에게 최고의 프레임
📌 확신보다 확률, 직감보다 기준을 우선해야 한다는 걸 다시 느낌
📌 다음 타깃은 BTC 65K 지지 테스트 or ETH 3,100 재진입 구간

이 매매일지는 내 트레이딩 습관을 객관화하는 데 도움이 됐고,
다시 한 번 “내 기준이 흔들리지 않아야 시장에서 살아남는다”는 걸 확신했습니다.

💬 여러분의 매매 기준은 무엇인가요?

혹시 워뇨띠 매매법을 활용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?
감정 없이 기준만으로 매매하는 게 정말 어렵다는 걸 느낍니다.
여러분은 어떤 매매 원칙을 가지고 계신가요? 댓글로 함께 나눠봐요!